기초생활수급자 조건 및 혜택 총정리
- 생활 정보/일상다반사 이야기
- 2023. 6. 2.
차상위계층 소득인정액 모의계산 포스팅으로 이동하세요!
기초생활수급자 조건: 위의 링크를 클릭하면 차상위계층 소득인정액 모의계산 포스팅으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은 모두 동일한 소득인정액 계산방법이 적용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기초생활수급자는 국가에서 제공하는 복지제도 중 가장 기초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집단입니다.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로 구분되는 4가지 맞춤형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기초생활수급자 자격을 갖추어야 하며, 급여 형태별로 적용되는 기준 중위소득이 다르기 때문에 대상 선정이 상이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초생활수급자의 경우 소득인정액이 가장 적은 생계급여 수급자가 가장 큰 혜택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기초생활수급자의 경우 생계급여를 통해 가장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표를 통해 기초생활수급자의 맞춤형 지원 혜택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지원 혜택 | 대상자 | 지원 내용 |
---|---|---|
생계급여 | 소득이 없거나 일정 기준 이하인 가구 | 일정 금액의 생활비 지원 |
의료급여 | 소득이 없거나 일정 기준 이하인 가구 | 병원 진료비 일부 또는 전액 지원 |
주거급여 | 주거비 부담이 어려운 가구 | 보증금 및 월세 일부 또는 전액 지원 |
교육급여 | 소득이 없거나 일정 기준 이하인 가구 중 만 18세 이하 자녀가 있는 가구 | 학용품비 및 학비 일부 또는 전액 지원 |
따라서 대상자는 자격을 갖추어 신청해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3년 기준으로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정부는 새로운 기준에 따라 2023년 기준으로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선정과 급여 기준을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라 1인 가구 기준으로 생계급여는 623,367원, 2인 가구는 1,036,845원, 3인 가구는 1,330,444원, 4인 가구는 1,620,289원, 5인 가구는 1,899,206원, 6인 가구는 2,168,394원으로 지급될 예정입니다.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의 지급을 받기 위해서는 일정한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지원금을 받기 위해서는 월 평균 소득이 주택 유형과 지역에 따라 다르게 조정되며, 기준 중위소득을 초과해서는 안 됩니다. 확실한 지원금 신청을 위해서는 본인의 가구 소득에 따라 기초생활수급자 지원금을 받을 자격이 있는지를 계산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때 위에서 제시된 표를 참조해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만약 기준 중위소득을 초과하더라도 특정한 사유로 인하여 기초생활수급자로 지원받을 자격이 있는 경우라면 해당기관에 충분한 설명과 함께 지원금 신청을 하면 됩니다.
가구원 수 | 월 평균 소득 한도 | 기준 중위소득 |
---|---|---|
1 | 519,108원 | 1,038,215원 |
2 | 865,179원 | 1,730,358원 |
3 | 1,211,250원 | 2,422,500원 |
4 | 1,557,321원 | 3,114,642원 |
5 | 1,903,392원 | 3,806,784원 |
6 | 2,249,463원 | 4,498,925원 |
이번에 발표된 새로운 기준을 기반으로 적절한 지원금을 받아 안정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생활 정보 > 일상다반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딸꾹질 멈추는법 및 원인 (0) | 2023.06.03 |
---|---|
블랙툰 대피소 (0) | 2023.06.02 |
인스타 비활성화 모바일 설정 방법과 비활성화 해제 (0) | 2023.06.02 |
퐁퐁남 뜻? '모르면 대화안된다' (0) | 2023.06.02 |
새마을금고 예금금리 가장 높은 곳 (2023.05월 기준) (0) | 2023.06.02 |